728x90
반응형
A. 총론
1. shock 정의
- tissue oxygenation 이 불충분하여 산소 필요량만큼 Hb이 산소를 운반해 주지 못하는 상태
- shock 이라도 저혈압이 아닐수도 있고, 저혈압이라도 shock 이 아닐수도 있다.
2. shock 의 임상적 진단기준
- 급성병색 있거나 의식저하
- 맥박 >100
- 호흡 > 20 , 혹은 PaCO2 < 21
- bicarbonate 가 5이상감소, 혹은 lactate >4
- 소변양 0.5ml/kg/hr 이하
- 20분 이상 저혈압지속
위 요소중 4가지 이상시 쇼크라고 진단함

3. distributive : most common
- vascular resistence 저하 -> preload 감소 -> CO는 감소할수도, 증가할수도
- sepsis, neurogenic shock, adrenal insufficiency, anaphylaxis
4. 공식과 정상치
- cardiac output (CO) = HR X SV
- stroke volume (SV) : preload 클수록, afterload 작을수록, contractility 클수록 => 증가한다
- MAP (Mean Arterial Pressure) : CO 클수록, SVR 클수록 => 증가한다 (MAP : 90-100)
- CO 가 충분해야 tissure oxygenation 도 원활
- CO : inotropy 수축기때 심근 수축력), chronotropy (HR), lusitropy (이완기때 refill 능력)
- CVP : 10-12 : 우심실의 이완기말 볼륨을 반영 : 전신의 체액량을 반영
- PCWP : 12-18 : 좌심실의 이완기말 볼륨을 반영 : 폐혈관의 체액량을 반영함
- MAP : 90-100
- SVR : 800-1400 dynes/sec/cm2
- CO : 5L/min
- CI : 2.5-4.5 L per min*m2
- SV = CO/HR = 50-60ml
- HR = 분당 60-100
- coronary perfusion pressure = [diastolic Bp - CVP] : 60mmHg 이상
- Hct 30% 이상
- Urin Output = 0.5ml/kg.h 이상
Shock index = heart rate / systolic blood pressure.
- Normal = 0.5 to 0.7
- 1이상이면 예후가 좋지않다.
- 즉 heart rate 가 수축기 혈압보다 높으면 예후가 좋지않다
tissue oxygenation
- Scvo2 70% 이상
- serum lactate 2mM/L 이하
5. lactic acid
.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음 -> anaerobic metabolism -> lactic acid 상승 -> metabolic acidosis 유발
. serum lactate 2mM/L 이하
. 산소공급이 원활해도 순간적인 산소요구량이 증가할때도 상승한다 : seizure
. lactic acid 상승은 응급실에서의 단기 예후 악화에 관련됨
6. shock 의 결과
. tissue hypoxia 지속 -> renal failure, respiratory failure, myocardial depression, liver failure (lab 이 전반적으로 다 깨진다) -> DIC
7. 소아에서의 정상 vital sign


728x90
반응형
'응급의학 > 순환기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ortic aneurysm and Aortic syndrome (Aortic Dissection, Intramural hematoma, Penetrating Aortic Ulcer) (0) | 2022.08.02 |
---|---|
pulmonary edema / 급성 폐부전 (0) | 2022.08.02 |
폐색전증 (PTE : pulmonary thromboembolism) 의 EKG 와 d-dimer 의 의미 (0) | 2022.03.05 |
급성 폐부종 (acute pulmonary edema), 급성 심부전 (acute heart failure) (0) | 2022.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