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ntinalli/senction 14 Neurology

chapter 164 Neurologic Examination

by Tintinalli 2023. 2. 22.
728x90
반응형

A. 12 뇌신경 (12 cranial nerve)

1. 후각신경 olfactory nerve

  • 냄새를 맡는 기능, 음식을 먹을때 냄새맡는 기능은 맛을 보는것 만큼 중요하다.

 

 

 

2. 시신경 optic nerve

A. 기능

시각을 보는 기능을 한다.

 

 

 

 

3. oculomotor trochlear abducense nerve (3,4,6 신경) 

A. 3번 뇌신경 oculomotor nerve

  • 안구 운동 근육 지배 
  • 눈꺼풀을 움직임
  1. 안검거상근 levaur palpebrae (작용을 더 많이 한다.) - oculomotor nerve 지배
  2. 상안검 판근 superior tarsal nerve - 교감신경 지배
  • 동공운동 중 부교감신경 작용 (축동 miosis). 참고로 동공 산동(mydriasis) 을 일으키는 교감신경은 12뇌신경이 아니다. 동공 확대근을 지배하는 교감신경은 T1 에서 나온다.
  1. 동공확대 mydriasis - 교감신경 - dilator pupillae ms
  2. 동공수축 miosis - 부교감신경(oculomotor nerve) - sphinter papillae ms

 

우측 3번 뇌신경 장애 - 안검하수, 위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빛반사 없음, 근접반사 없음, 동공확대

  • 3번 뇌신경 장애의 원인 - IC PC aneurysm, Sturge-Weber증후군, spu.orbit fissure syndrome, 당뇨병성 신경병증

B. 교감신경 장애 Honor syndrome

  • 4대증상 - 안검하수, 동공수축, 안구함몰(enophathalmus), 땀없음(anhidrosis)
  • 원인 - Wallernberg synd, syringomyelia, Shy0Drager syndrome, intra carotid artery aneurysm, 별모양신경절 차단

 

 

 

 

4. trigeminal nerve 삼차신경 5CN

  • V1 : opthalmic division
  • V2 : maxillary division
  • V3 : mandibular division

  • 얼굴의 감각을 담당한다.
  1. 정중선은 양쪽이 모두 담당하기 때문에 한쪽이 마비되어도 정중선 감각은 살아있다. 만일 정중선 감각이 죽었다면 꾀병이나 전환장애를 생각해야 한다.

 

  • 씹기를 담당 V3 가 담당
  1. 여러 저작근 중 씹기 근육을 지배함 (masseter muscle)

 

  • 각막의 감각
  1. 각막을 만졌을때 눈을 감는것은 눈 둘레근orbicularis oculi  작용이며, 7번 뇌신경 facial nerve 가 담당한다.

 

 

5. facial nerve 안면신경 7CN - 얼굴 근육을 담당한다.

  • 안면신경 마비 -
  1. 이마주름잡기가 되면 중추성 마비, 이마주름까지 마비되면 말초성 마비
  2. 해당측 입꼬리는 내려간다
  • 혀앞 2/3의 미각 - 참고로 뒤 1/3 미각은 혀인두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9CN 담당
  • 얼굴 신경중 부교감신경이 장애 받으면, 눈물샘, 턱밑샘submandibular gland, 혀밑샘sublingual gland 분비가 장애받음
  • 등자근 (고막 stabilizer, stapedius ms) 이 마비되어 큰소리를 방어 해 주지 못한다. 마비시 소음에 청각과민을 일으킨다.

 

 

  • 벨마비
특발성이지만 최근에는 HSV-1 의 재활성화에 의한 신경염이 주요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예후가 양호 - 치유율 95%

  • ramsay hunt 증후군 RHS
VZV 재활성화에 의한 신경염

예후가 불량 - 치유율 60-70%


  • 치료 :
steroid, 항바이러스제
비율로는 bell 마비가 70%, RHS 가 15-20%
내이신경(vestibulocochlear 8CN )으로 염증 확산되기 쉽다. 벨마비든 RHS 든 귀 통증을 가질 수 있다.
수포가 나타나지 않는 RHS 는 벨마비로 오인되기도 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제를 깔아주는 것이 안전할 듯 하다.

 

 

 

 

 

 

5. vestibulocochlear nerve 청신경 8CN 

5-1. cochlear nerve 소리를 듣는다

  • rinne test

소리굽쇠를 mastoid process 에 대고 골전도 시행 →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손들라고 시킴 → 직후엔 귀앞에 갖다댐 → 소리가 들리면 양성, 소리가 안들리면 음성

양성 : 정상이거나 감각 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

음성 : 전음성 난청conductive hearing loss

  • weber test

소리굽쇠를 앞이마에 댄다

양쪽 동일하게 들림 : 정상

환부 쪽에서 작게 들림 : 감각 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hearing loss)

환부 쪽에서 크게 들림 : 중이염 등에서 소리가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음 

 

5-2. Vestibular nerve 균형을 잡는다 

  • nystagmus test

Caloric test

  •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살짝 들고 30도정도 외이도에 냉수30도, 혹은 온수 40도 를 주입한다
  • COWS
  • cold opposite, warm same direction nystagmus
  • 반고리관 장애시 물을 넣어도 nystagmus 자극되지 않음

 

6. 설인신경 glossopharyngeal nerve 9CN 

붓인두근(stylopharyngeus muscle) 지배 (운동신경), 혀 뒤쪽 1/3 미각, 인두의 표재감각

  • soft palate test

아 소리를 내라고 시킬때 정상쪽으로 연구개가 향한다.

 

 

7. 미주신경

인두와 후두의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

external auditory canal 감각, 인두의 감각

trachea, heart, esophagus, stomach, liver, GB, small bowel, colon proximal 2/3 에 분포하는 부교감신경

 

728x90
반응형

댓글